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ummer 2023/정규 시즌/3주차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ummer 2023/정규 시즌




1. 개요
2. 1일차
2.1. 31경기 AST vs SK
2.2. 32경기 VIT vs KOI
2.3. 33경기 XL vs G2
2.4. 34경기 FNC vs BDS
2.5. 35경기 MAD vs TH
3. 2일차
3.1. 36경기 XL vs AST
3.2. 37경기 G2 vs KOI
3.3. 38경기 TH vs FNC
3.4. 39경기 BDS vs VIT
3.5. 40경기 SK vs MAD
4. 3일차
4.1. 41경기 VIT vs XL
4.2. 42경기 BDS vs MAD
4.3. 43경기 KOI vs AST
4.4. 44경기 TH vs G2
4.5. 45경기 SK vs FNC



1. 개요[편집]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ummer 2023의 정규 시즌 3주차 경기 내용을 기록한 문서.

모든 날짜는 독일 현지 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모든 경기는 Bo1로 진행된다.

}}}
순위연속비고
1파일:G2 Esports 로고.svgG2817승
2파일:Fnatic 로고.svgFNC721패
3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XL542승3위 H2H 승
4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TH542패3위 H2H 패
5파일:Team BDS 아이콘.svgBDS452승5위 H2H 3-0
6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SK452승5위 H2H 2-1
7파일:매드 라이온즈 로고 2023.svgMAD455패5위 H2H 1-2
8파일:KOI_logo.pngKOI451승5위 H2H 0-3
9파일:Astralis 아이콘.svgAST362패
10파일:Team Vitality 로고.svgVIT187패
연두색: 그룹 스테이지 진출 | 노란색: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2. 1일차[편집]


경기
블루팀
결과
레드팀
31경기파일:Astralis 아이콘.svgASTSK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32경기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VITKOI파일:KOI_logo.png
33경기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XLG2파일:G2 Esports 로고.svg
34경기파일:Fnatic 로고.svgFNCBDS파일:Team BDS 아이콘.svg
35경기파일:매드 라이온즈 로고 2023.svgMADTH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1. 31경기 AST vs SK[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1경기
AstralisSK Gaming
3승 4패결과2승 5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1경기 Player of the Game
아담 일랴소프
(LIDER)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Astralis, redteam=SK Gaming
, d_blue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밀리오, d_blueban4=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leblanc, p_blueban2=yuumi, p_blueban3=milio, p_blueban4=jax, p_blueban5=gnar
, d_redban1=세주아니, d_redban2=마오카이, d_redban3=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이렐리아, d_redban5=야스오
, p_redban1=sejuani, p_redban2=maokai, p_redban3=xayah, p_redban4=irelia, p_redban5=yasuo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vi, p_bluepic3=azir,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그라가스, d_redpic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ragas, p_redpic2=poppy, p_redpic3=neeko, p_redpic4=jinx, p_redpic5=raka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Chemtech, bluedragon2=Chemtech
, bluedragon3=Chemtech, bluesoul=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Chemtech, redsoul=)]

파일:20230701_AST vs SK.png


2.2. 32경기 VIT vs KOI[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2경기
Team VitalityKOI
1승 6패결과3승 4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2경기 Player of the Game
에밀 라르손
(Larsse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Vitality, redteam=KOI
, d_blue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세주아니, d_blueban3=케넨, d_blueban4=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자르반 4세
, p_blueban1=vi, p_blueban2=sejuani, p_blueban3=kennen, p_blueban4=poppy, p_blueban5=jarvanIV
, d_redban1=밀리오, d_redban2=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milio, p_redban2=yuumi, p_redban3=xayah, p_redban4=nami, p_redban5=nautilus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마오카이,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소라카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maokai, p_bluepic3=azir, p_bluepic4=zeri, p_bluepic5=soraka
, d_red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트런들,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nar, p_redpic2=trundle, p_redpic3=leblanc, p_redpic4=aphelios, p_redpic5=lul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Cloud,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Cloud, redsoul=)]

파일:20230701_VIT vs KOI.png


2.3. 33경기 XL vs G2[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3경기
EXCELG2 Esports
3승 4패결과6승 1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3경기 Player of the Game
세르겐 첼리크
(BrokenBlad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XCEL, redteam=G2 Esports
, d_blue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마오카이, d_blueban4=세주아니, d_blueban5=비에고
, p_blueban1=vi, p_blueban2=poppy, p_blueban3=maokai, p_blueban4=sejuani, p_blueban5=viego
, d_redban1=밀리오, d_redban2=트리스타나, d_redban3=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카이사
, p_redban1=milio, p_redban2=tristana, p_redban3=yuumi, p_redban4=rakan, p_redban5=kaisa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ksante,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neeko, p_bluepic4=xayah,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트런들,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드레이븐,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olaf, p_redpic2=trundle, p_redpic3=leblanc, p_redpic4=draven, p_redpic5=brau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Ocean
, reddragon3=Ocean, redsoul=)]

파일:20230701_XL vs G2.png


2.4. 34경기 FNC vs BDS[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4경기
FnaticTeam BDS
6승 1패결과2승 5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4경기 Player of the Game
이반 마르틴
(Razork)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Fnatic, redteam=Team BDS
, d_blueban1=세주아니, d_blueban2=마오카이, d_blueban3=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sejuani, p_blueban2=maokai, p_blueban3=zeri, p_blueban4=darius, p_blueban5=wukong
, d_red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밀리오, d_redban4=크산테, d_redban5=사이온
, p_redban1=leblanc, p_redban2=vi, p_redban3=milio, p_redban4=ksante, p_redban5=sion
, d_bluepic1=그라가스, d_bluepic2=비에고, d_bluepic3=신드라,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ragas, p_bluepic2=viego, p_bluepic3=syndra, p_bluepic4=xayah, p_bluepic5=yuumi
, d_red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블리츠크랭크
, p_redpic1=olaf, p_redpic2=poppy, p_redpic3=azir, p_redpic4=aphelios, p_redpic5=blitzcrank)]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Cloud, bluesoul=Cloud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701_FNC vs BDS.jpg
이번 경기로 아담이 LEC 통산 100경기 출전을 하게되었다. #


2.5. 35경기 MAD vs TH[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5경기
MAD LionsTeam Heretics
4승 3패결과5승 2패
그룹 스테이지 진출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5경기 Player of the Game
마르친 얀코프스키
(Janko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MAD Lions, redteam=Team Heretics
, d_blueban1=마오카이, d_blueban2=드레이븐, d_blueban3=아지르, d_blueban4=사이온, d_blueban5=세주아니
, p_blueban1=maokai, p_blueban2=draven, p_blueban3=azir, p_blueban4=sion, p_blueban5=sejuani
, d_red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크산테, d_redban5=레넥톤
, p_redban1=vi, p_redban2=rakan, p_redban3=lucian, p_redban4=ksante, p_redban5=renekton
, d_bluepic1=그라가스, d_bluepic2=렉사이, d_bluepic3=애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밀리오
, p_bluepic1=gragas, p_bluepic2=reksai, p_bluepic3=annie, p_bluepic4=xayah, p_bluepic5=milio
, d_redpic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poppy, p_redpic2=wukong, p_redpic3=leblanc, p_redpic4=aphelios, p_redpic5=yuumi)]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loud, reddragon2=Mountain
, reddragon3=Chemtech, redsoul=)]

파일:20230701_MAD vs TH.jpg


3. 2일차[편집]


경기
블루팀
결과
레드팀
36경기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XLAST파일:Astralis 아이콘.svg
37경기파일:G2 Esports 로고.svgG2KOI파일:KOI_logo.png
38경기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THFNC파일:Fnatic 로고.svg
39경기파일:Team BDS 아이콘.svgBDSVIT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40경기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SKMAD파일:매드 라이온즈 로고 2023.svg





3.1. 36경기 XL vs AST[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6경기
EXCELAstralis
4승 4패결과3승 5패
그룹 스테이지 진출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6경기 Player of the Game
파트릭 이루
(Patrik)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EXCEL, redteam=Astralis
, d_blue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세주아니, d_blueban3=블리츠크랭크, d_blueban4=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vi, p_blueban2=sejuani, p_blueban3=blitzcrank, p_blueban4=nautilus, p_blueban5=rakan
, d_red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아지르, d_redban4=드레이븐, d_redban5=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leblanc, p_redban2=yuumi, p_redban3=azir, p_redban4=draven, p_redban5=lucian
, d_bluepic1=사이온, d_bluepic2=아무무, d_bluepic3=트리스타나,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밀리오
, p_bluepic1=sion, p_bluepic2=amumu, p_bluepic3=tristana,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milio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enekton, p_redpic2=maokai, p_redpic3=sylas, p_redpic4=xayah, p_redpic5=pyk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Hextech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Ocean, reddragon2=Chemtech
, reddragon3=Hextech, redsoul=)]

파일:20230702_XL vs AST.png
엑셀이 이 경기를 승리하며 2023년 첫 그룹 스테이지 진출에 성공한다.


3.2. 37경기 G2 vs KOI[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7경기
G2 EsportsKOI
7승 1패결과3승 5패
MAD 그룹 스테이지 진출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8경기 Player of the Game
마르틴 순델린
(Yik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G2 Esports, redteam=KOI
, d_blueban1=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yuumi, p_blueban2=leblanc, p_blueban3=vi, p_blueban4=rakan, p_blueban5=lulu
, d_redban1=밀리오, d_redban2=마오카이, d_redban3=드레이븐, d_redban4=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레넥톤
, p_redban1=milio, p_redban2=maokai, p_redban3=draven, p_redban4=nocturne, p_redban5=renekton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카직스, d_bluepic3=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그모, d_bluepic5=브라움
, p_bluepic1=ksante, p_bluepic2=khazix, p_bluepic3=neeko, p_bluepic4=kogmaw, p_bluepic5=braum
, d_redpic1=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자르반 4세,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잔나
, p_redpic1=gwen, p_redpic2=jarvanIV, p_redpic3=azir, p_redpic4=aphelios, p_redpic5=jann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Cloud, bluesoul=Cloud
, reddragon1=Infernal,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702_G2 vs KOI.png
이 경기 결과로 MAD의 그룹 스테이지 진출이 확정되었다.


3.3. 38경기 TH vs FNC[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8경기
Team HereticsFnatic
5승 3패결과7승 1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9경기 Player of the Game
오현택
(Noah)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LEC(청록)
, match=정규시즌 38경기, year=2023, month=07, day=02
, bteam=TH, bresult=LOSS, rteam=FNC, rresult=WIN, time=33:36
, bkill=10, bdeath=17, bassist=23, rkill=17, rdeath=10, rassist=41
, bgold=57.1, rgold=66.3)]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Heretics, redteam=Fnatic
, d_blueban1=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마오카이, d_blueban5=비에고
, p_blueban1=xayah, p_blueban2=neeko, p_blueban3=yuumi, p_blueban4=maokai, p_blueban5=viego
, d_redban1=드레이븐, d_redban2=아지르, d_redban3=밀리오, d_redban4=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draven, p_redban2=azir, p_redban3=milio, p_redban4=nautilus, p_redban5=lucian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바루스, d_bluepic5=블리츠크랭크
, p_bluepic1=ksante, p_bluepic2=vi, p_bluepic3=leblanc, p_bluepic4=varus, p_bluepic5=blitzcrank
, d_red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라이즈,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olaf, p_redpic2=poppy, p_redpic3=ryze, p_redpic4=aphelios, p_redpic5=lul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Mountain
, reddragon3=Mountain, redsoul=Mountain)]

파일:20230702_TH vs FNC.png
3주차 Match of the Week


3.4. 39경기 BDS vs VIT[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39경기
Team BDSTeam Vitality
3승 5패결과1승 7패
그룹 스테이지
진출 실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37경기 Player of the Game
아담 마나네
(Ada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BDS, redteam=Team Vitality
, d_blue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밀리오, d_blueban3=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크산테
, p_blueban1=leblanc, p_blueban2=milio, p_blueban3=yuumi, p_blueban4=lulu, p_blueban5=ksante
, d_red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vi, p_redban2=zeri, p_redban3=olaf, p_redban4=jax, p_redban5=darius
, d_bluepic1=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바루스,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sett, p_bluepic2=sejuani, p_bluepic3=azir, p_bluepic4=varus, p_bluepic5=rakan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트리스타나,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enekton, p_redpic2=maokai, p_redpic3=tristana, p_redpic4=aphelios,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Mountain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Mountain
, reddragon3=Mountain, redsoul=)]

파일:20230702_BDS vs VIT.png
이 경기 패배로 바이탈리티는 그룹 스테이지 진출이 좌절되었다. 다만 세 시즌의 포인트 합산으로 결정되는 시즌 파이널 진출 여부에 대한 가능성은 남아있다.


3.5. 40경기 SK vs MAD[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40경기
SK GamingMAD Lions
3승 5패결과4승 4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40경기 Player of the Game
마크 반 윈슬
(Markoo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LEC(주황)
, match=정규시즌 40경기, year=2023, month=07, day=02
, bteam=SK, bresult=WIN, rteam=MAD, rresult=LOSS, time=30:08
, bkill=27, bdeath=4, bassist=63, rkill=4, rdeath=27, rassist=7
, bgold=63.4, rgold=50.8)]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SK Gaming, redteam=MAD Lions
, d_blueban1=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레넥톤
, p_blueban1=yuumi, p_blueban2=xayah, p_blueban3=vi, p_blueban4=jinx, p_blueban5=renekton
, d_red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마오카이, d_redban4=아칼리, d_redban5=크산테
, p_redban1=leblanc, p_redban2=jax, p_redban3=maokai, p_redban4=akali, p_redban5=ksante
, d_bluepic1=그라가스, d_bluepic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밀리오
, p_bluepic1=gragas, p_bluepic2=poppy, p_bluepic3=sylas,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milio
, d_red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아지르, d_redpic4=드레이븐, d_redpic5=블리츠크랭크
, p_redpic1=gnar, p_redpic2=sejuani, p_redpic3=azir, p_redpic4=draven, p_redpic5=blitzcrank)]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Mountain, bluedragon2=Mountain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loud,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Mountain, redsoul=)]

파일:20230702_SK vs MAD.png
해당 경기 결과로 바이탈리티는 서머 10위가 확정되었다.


4. 3일차[편집]


경기
블루팀
결과
레드팀
41경기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VITXL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
42경기파일:Team BDS 아이콘.svgBDSMAD파일:매드 라이온즈 로고 2023.svg
43경기파일:KOI_logo.pngKOIAST파일:Astralis 아이콘.svg
44경기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THG2파일:G2 Esports 로고.svg
45경기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SKFNC파일:Fnatic 로고.svg





4.1. 41경기 VIT vs XL[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41경기
Team VitalityEXCEL
1승 8패결과5승 4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41경기 Player of the Game
안드레이 파스쿠
(Odoamn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LEC(주황)
, match=정규시즌 41경기, year=2023, month=07, day=03
, bteam=VIT, bresult=LOSS, rteam=XL, rresult=WIN, time=28:25
, bkill=5, bdeath=18, bassist=13, rkill=18, rdeath=5, rassist=46
, bgold=46.5, rgold=57.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Vitality, redteam=EXCEL
, d_blueban1=드레이븐, d_blueban2=아지르, d_blueban3=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카시오페아
, p_blueban1=draven, p_blueban2=azir, p_blueban3=xayah, p_blueban4=jax, p_blueban5=cassiopeia
, d_red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마오카이,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신드라
, p_redban1=leblanc, p_redban2=maokai, p_redban3=lucian, p_redban4=neeko, p_redban5=syndra
, d_bluepic1=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비에고, d_bluepic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wen, p_bluepic2=viego, p_bluepic3=ahri,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yuumi
, d_redpic1=케넨,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크산테, d_redpic4=트리스타나, d_redpic5=밀리오
, p_redpic1=kennen, p_redpic2=sejuani, p_redpic3=ksante, p_redpic4=tristana, p_redpic5=milio)]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Chemtech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703_VIT vs XL.png
엑셀의 승리로 그룹 스테이지 2포트는 매드의 경기 결과와는 상관 없이 승자승 원칙에 의거해 헤레틱스와 엑셀로 확정되었다.


4.2. 42경기 BDS vs MAD[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42경기
Team BDSMAD Lions
4승 5패결과4승 5패
그룹 스테이지 진출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42경기 Player of the Game
아담 마나네
(Ada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LEC(주황)
, match=정규시즌 42경기, year=2023, month=07, day=03
, bteam=BDS, bresult=WIN, rteam=MAD, rresult=LOSS, time=29:22
, bkill=15, bdeath=4, bassist=26, rkill=4, rdeath=15, rassist=6
, bgold=58.6, rgold=47.8)]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BDS, redteam=MAD Lions
, d_blueban1=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밀리오, d_blueban4=카이사, d_blueban5=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xayah, p_blueban2=yuumi, p_blueban3=milio, p_blueban4=kaisa, p_blueban5=neeko
, d_redban1=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ban1=zeri, p_redban2=olaf, p_redban3=darius, p_redban4=lulu, p_redban5=renataGlasc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마오카이,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탐 켄치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maokai, p_bluepic3=azir,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tahmKench
, d_redpic1=케넨,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그라가스,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kennen, p_redpic2=vi, p_redpic3=gragas, p_redpic4=ezreal, p_redpic5=raka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Chemtech, bluesou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703_BDS vs MAD.png
BDS는 이 경기를 승리하면 타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하나, 패배시 8위 타이브레이커가 진행된다.[1] 매드의 경우 승리시 포트3가 확정된다.

BDS의 승리로 그룹 스테이지 진출에 성공하였다. 이 경기에서 BDS는 약간의 실수만 빼면 스프링때의 좋은 경기력이 떠올릴 정도로 선수들 모두가 좋은 활약을 펼쳤다.


4.3. 43경기 KOI vs AST[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43경기
KOIAstralis
4승 5패결과3승 6패
그룹 스테이지 진출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43경기 Player of the Game
에밀 라르손
(Larsse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LEC(주황)
, match=정규시즌 43경기, year=2023, month=07, day=03
, bteam=KOI, bresult=WIN, rteam=AST, rresult=LOSS, time=28:34
, bkill=22, bdeath=5, bassist=54, rkill=5, rdeath=22, rassist=13
, bgold=57.3, rgold=43.7)]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KOI, redteam=Astralis
, d_blueban1=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세주아니, d_blueban3=마오카이, d_blueban4=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그라가스
, p_blueban1=xayah, p_blueban2=sejuani, p_blueban3=maokai, p_blueban4=rumble, p_blueban5=gragas
, d_red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밀리오, d_redban4=브라움, d_redban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leblanc, p_redban2=yuumi, p_redban3=milio, p_redban4=braum, p_redban5=rakan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vi, p_bluepic3=neeko, p_bluepic4=sivir, p_bluepic5=lulu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비에고,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ksante, p_redpic2=viego, p_redpic3=azir, p_redpic4=aphelios, p_redpic5=nautilu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Chemtech
, bluedragon3=Chemtech, bluesoul=
, reddragon1=Cloud,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703_KOI vs AST.png
3승 5패 팀간의 단두대 매치. 승리 팀은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하며, 패배 팀은 45경기 결과에 따라 8위 타이브레이커를 치를지, 9위로 서머 마감을 하게 될지가 결정된다.

단두대 매치의 승자는 KOI였다. 또한 해당 경기로 라센이 LEC 통산 1000킬을 달성한다. #

추가적으로 해당 경기 결과로 인해 4승 팀간 승자승 원칙에서 가장 우세한 기록을 가진 BDS는 정규 5위를 확정지었다.


4.4. 44경기 TH vs G2[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44경기
Team HereticsG2 Esports
5승 4패결과8승 1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44경기 Player of the Game
라스무스 뷘터
(Cap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LEC(주황)
, match=정규시즌 44경기, year=2023, month=07, day=03
, bteam=TH, bresult=LOSS, rteam=G2, rresult=WIN, time=34:58
, bkill=8, bdeath=14, bassist=16, rkill=14, rdeath=8, rassist=30
, bgold=57.8, rgold=65.6)]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Heretics, redteam=G2 Esports
, d_blueban1=드레이븐, d_blueban2=코그모, d_blueban3=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아지르, d_blueban5=신드라
, p_blueban1=draven, p_blueban2=kogmaw, p_blueban3=neeko, p_blueban4=azir, p_blueban5=syndra
, d_red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트리스타나
, p_redban1=vi, p_redban2=leblanc, p_redban3=lucian, p_redban4=jayce, p_redban5=tristana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마오카이, d_bluepic3=카이사, d_bluepic4=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maokai, p_bluepic3=kaisa, p_bluepic4=zeri, p_bluepic5=yuumi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트런들, d_redpic3=카시오페아,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밀리오
, p_redpic1=ksante, p_redpic2=trundle, p_redpic3=cassiopeia, p_redpic4=aphelios, p_redpic5=milio)]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Cloud,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Ocean,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Infernal, redsoul=)]

파일:20230703_TH vs G2.png
G2의 경우 해당 경기 승리시 정규 1위가 확정되며, 이로 인해 서머 시즌 최소 7위 이상을 확보하게 된다.[2]

경기 시간 32분 경, 퍼즈가 걸린다. 사유는 넥서스 타워 부근에서 카이사를 향해 터진 카시오페아의 버그[3]로, 해당 버그 발생으로 인해 헤레틱스 측에서 크로노브레이크를 요청하였는데, 하필 크로노브레이크가 된 시점이 헤레틱스가 바론 한타를 승리하기 직전으로 돌아가 넥서스 부근에서 카시오페아를 잡는데는 성공하였으나 반대로 바론 한타에서는 거꾸로 G2가 승리하여 헤레틱스는 오히려 크로노브레이크로 인해 손해를 보게 되었다.(...)

결국 경기 결과 G2의 승리로 정규 순위가 G2 1위, 프나틱 2위, 엑셀 3위, 헤레틱스 4위로 확정되었다.


4.5. 45경기 SK vs FNC[편집]


파일:lec 심볼.svg 정규 시즌 45경기
SK GamingFnatic
4승 5패결과7승 2패
그룹 스테이지 진출
AST 그룹 스테이지 진출 실패
AST 시즌 파이널 진출 실패

파일:lec 심볼.svg 정규시즌 45경기 Player of the Game
마크 반 윈슬
(Markoo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LEC(주황)
, match=정규시즌 45경기, year=2023, month=07, day=03
, bteam=SK, bresult=WIN, rteam=FNC, rresult=LOSS, time=31:03
, bkill=16, bdeath=13, bassist=40, rkill=13, rdeath=16, rassist=25
, bgold=61.1, rgold=54.5)]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SK Gaming, redteam=Fnatic
, d_blueban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크산테, d_blueban3=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트리스타나, d_blueban5=신드라
, p_blueban1=poppy, p_blueban2=ksante, p_blueban3=vi, p_blueban4=tristana, p_blueban5=syndra
, d_redban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세주아니,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leblanc, p_redban2=sejuani, p_redban3=lucian, p_redban4=wukong, p_redban5=neeko
, d_bluepic1=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밀리오
, p_bluepic1=jax, p_bluepic2=nautilus, p_bluepic3=azir, p_bluepic4=jinx, p_bluepic5=milio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제라스,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enekton, p_redpic2=maokai, p_redpic3=xerath, p_redpic4=aphelios, p_redpic5=yuumi)]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Chemtech,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loud,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703_SK vs FNC.png
해당 경기에서 SK가 승리할 경우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하며, 패배시 8위 타이브레이커 매치를 아스트랄리스와 치르게 된다.

SK가 예상을 깨고 프나틱을 상대로 승리하는 업셋을 일으키면서, 그룹 스테이지 진출을 확정지었고, 아스트랄리스는 서머를 9위로 마감하는 동시에 챔피언십 포인트가 최고 7위로 확정, 시즌 파이널 진출이 좌절되었다. 이로써 아스트랄리스는 메이저 및 마이너 리그 팀들 모두 통틀어 가장 먼저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를 하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2 14:24:30에 나무위키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ummer 2023/정규 시즌/3주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EC 규정상 8위 자리의 경우 반드시 타이브레이커가 진행된다.[2] 프나틱과의 승자승 원칙에서 우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3] 카이사가 개인 화면으로도 뒤를 보고 있는 상황임에도 카시오페아의 궁극기 석화가 적용된 버그.